top of page

국민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대학교 1학년 산업디자인과 학생들의 아카이빙을 진행한다.

 

 

디자인이나 조형 작업을 했을 때, 1학년때의 결과물은 쉽게 잊혀지기 마련이다. 

자잘한 아이디어와 작업물들을 보존하고 우리의 현재 작업을 다음 작업을 위한 아카이브로서 기록하고자 기획하였다. 

전체적인 진행 방식은 세 학교의 커리큘럼 정보를 이용해 상반기(Surface), 중반기(Extrude), 하반기(Mesh)로 나눠 잡지 레이아웃 형식으로 진행된다. 우리는 ‘Surface’ 면을 디자인하고, 이를 ‘Extrude’ 돌출시켜 ‘Mesh’ 덩어리를 만들어낸다. 단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입체처럼, 우리의 1학년 과정도 3,4,5월의 상반기, 6,7,8월의 중반기, 9,10,11월의 하반기로 나눠 차근차근 산업디자이너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담고자 했다. 각각의 기수에는 세 대학의 2-3명의 인원이 참여하여 대학마다 각각 하나의 결과물을 낸다. 기수마다 세 개씩 총 9개의 세 대학 학생들의 아카이브를 볼 수 있다. 레이아웃 형식과 크기는 자유로, 레이아웃 디자인 그 자체만으로 세 학교의 다른 지점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ducation 

대지 7 1 사본-100.jpg

미디어와 의사소통 수단의 발달로 디자이너들은 SNS를 통해 이전보다 많은 아이디어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세 학교가 모여 시작하는 아카이빙은 1학년때의 희석되고 놓치기 쉬운 사소한 아이디어들을 수집하고 공유하여 서로 다른 조형과 결과물을 한 눈에 접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세 학교의 작업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제시한다. 디자이너로서 첫 출발을 하는 학생들이 비슷한 위치에 있는 다른 학생들의 작업물을 보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 서울대 박근영

디자이너의 기록은 남고, 기억은 사라진다. 우리는 디자이너로서 출발하는 1학년 과정의 다듬어지지 못한 아이디어와 조형을 기록한다. 우리가 기록하는 디자인 과정과 그 속에서 나오는 조형은 비록 덜 다듬어졌을지라도, 디자이너가 자신의 이전 작업물을 보며 개선의 여지를 찾듯 우리의 다음 작업물로의 발전을 돕는 아카이브를 제시할 것이다.

: 홍익대 황철호

디자인은 거대한 추론의 장이라고 생각한다. 귀납 추론 또는 귀납법은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현상에서 그러한 사례들이 포함되는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또는 역으로 보편성에서 구체성을 유도하는 추론 형식 · 추리 방법이다. 우리의 정량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기존의 것들을 탐구하고 그 대상의 장단점을 밝혀 장점은 극대화 시키고 단점은 보완한다. 귀납법의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귀납과정의 특수한 사실이나 현상을 알아가기 위해 이러한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통해서 디자인과 학생들이 의미있는 귀납 추론의 하나의 근거 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자신들의 활동과 방향성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목표 점들을 수정 보완하기 위해서 타 학교의 경험을 차용하는 과정, 더 넓게는 디자인계의 하나의 문화와 프로세스로 자리매김 하였으면 좋겠다.

: 국민대 김강민

 

SNU

2021

​박근영
정다인
안덕우
최하윤
구승연
유서연
​정유정

2022

who's next?

HIU

박상은
박건우
박미솔
황철호
최지훈
정우현
​김지성

who's next?

KMU

유지혜
김회창
장수지
강하늘
김초혜
박예은
​김강민

who's next?

Contact Me

@arkhives2021

bottom of page